노아의 홍수와 방주에 대한 방대한 자료들을 모아놓은
WorldWideFlood.com 웹사이트 탐방
노아의 홍수와 방주에 대한 방대한 자료들을 모아놓은 WorldWideFlood.com 웹사이트(http://www.worldwideflood.com)를 탐방하여 본다. 노아의 방주에 대한 구체적이고 과학적인 자료들을 보기 원했던 분들은 궁금해했던 거의 모든 자료들을 이곳에서 참고문헌들과 함께 찾아 볼 수 있다.
(1) General (일반)
1. Bible Search (성경 검색, 온라인 성경)
http://www.worldwideflood.com/general/bible_search.htm
2. Noah's age (노아의 나이) : 족장들의 수명, 창세기 연대표, 바벨탑 시점, 오해들, 홍수후의 수명 단축, 수명 단축의 가능한 시나리오, 다른 사본의 연대기,
http://www.worldwideflood.com/general/noahs_age.htm
3. Ark thru history (역사 속의 방주) : 과거 인류 역사에 등장했던 노아 방주의 모습들
http://www.worldwideflood.com/general/ark_history.htm
4. Links : 창조과학 웹사이트들, 노아방주 관련 웹사이트들, 홍수 관련 웹사이트들
http://www.worldwideflood.com/general/links.htm
5. About us : Tim Lovett (creator with a little 'c') B.E. Mech Eng (Syd), Grad Dip.Ed
http://www.worldwideflood.com/general/about_us.htm
6. Secure Zone
7. Update : 최근 업데이트한 자료들
http://www.worldwideflood.com/general/updates/update_list.htm
8. Talks : 노아방주에 관한 최근 연구 및 조사 (요약)
http://www.worldwideflood.com/talks/mega_talk05.htm
(2) Ark structure (방주의 구조)
1. Size (크기)
1) Comparing the Ark (방주의 크기 비교)
http://www.worldwideflood.com/ark/compare_ships/compare_ships.htm
2) Comparison images (오늘날 초대형 여객선과 비교)
http://www.worldwideflood.com/ark/ark_images/ark_images.htm
3) Cubit references (규빗의 길이에 관한 것들)
http://www.worldwideflood.com/ark/noahs_cubit/cubit.htm
4) Cubit whitepaper (규빗에 관한 자료 및 참고문헌)
http://www.worldwideflood.com/ark/noahs_cubit/cubit_paper.htm
5) Which Cubit (pdf) (규빗의 길이에 관한 pdf 자료)
http://www.worldwideflood.com/ark/noahs_cubit/which_cubit.pdf
2. Proportions (비율)
1) Ark Safety Paper - AiG (노아 방주의 안전성에 관한 논문)
http://www.worldwideflood.com/ark/safety_aig/safety_aig.htm
2) Ark Safety Paper - Comment (노아 방주의 안전성 논문에 대한 논평)
http://www.worldwideflood.com/ark/safety_aig/safety_aig_comments.htm
3) Ark Safety Paper for dummies (여러 모형들에 대한 방주 안전성에 관한 논문)
http://www.worldwideflood.com/ark/safety_aig_explain/safety_aig_explain.htm
4) Why Such a Long Hull (그러한 긴 선체가 되어야하는 이유)
http://www.worldwideflood.com/ark/basic_hull_design/long_hull.htm
3. Shape (모양)
1) What Shape? (무슨 모양?)
http://www.worldwideflood.com/ark/what_shape/what_shape.htm
2) Does Ark mean Box? (방주는 상자를 의미하는가?)
http://www.worldwideflood.com/ark/what_shape/ark_box.htm
4. Payload (적재 하중)
1) Cargo Estimate (방주에 실어야할 동물, 먹이, 물..등의 화물량의 평가)
http://www.worldwideflood.com/ark/cargo/cargo.htm
2) Calculating the centre of Gravity (화물 적재후 무게 중심의 계산)
http://www.worldwideflood.com/ark/centre_of_gravity/Centre_of_gravity.htm
5. Stability (안정성)
1) Static Roll Stability (정적인 좌우흔들림 안정성)
http://www.worldwideflood.com/ark/stability/static_roll_stability.htm
2) Roll Calculator (좌우흔들림의 계산)
http://www.worldwideflood.com/ark/stability/roll_stability_calculator.htm
3) Broach Avoidance (파도쪽으로 선수가 향해짐)
http://www.worldwideflood.com/ark/anti_broaching/anti-broaching.htm
4) Bow Fin Design (방주의 보우핀 디자인)
http://www.worldwideflood.com/ark/anti_broaching/bow_fin.htm
5) Wave Yaw & Broaching (파도에 의한 흔들림과 옆으로 받는 파도)
http://www.worldwideflood.com/ark/anti_broaching/wave_yaw.htm
6. Strength (내구력)
1) Waves (바람, 파도, 쯔나미, 홍수시 파도)
http://www.worldwideflood.com/flood/waves/waves.htm
2) Waves Bending Moment (파도에 의한 휨 모멘트)
http://www.worldwideflood.com/ark/hull_calcs/wave_bm1.htm
3) Still Water Bending Moment (평온한 물에서 휨 모멘트)
http://www.worldwideflood.com/ark/hull_calcs/still_water_bm.htm
7. Structural options (구조적 옵션)
1) Joining Large Timbers (거대한 나무들의 연결 방법)
http://www.worldwideflood.com/ark/basic_hull_design/joining_big_logs.htm
2) Monocoque vs Truss-Frame (외판 구조 대 트러스 구조)
http://www.worldwideflood.com/ark/basic_hull_design/monocoque_vs_truss.htm
3) Monocoque Planking (외판에 널빤지 대기)
http://www.worldwideflood.com/ark/basic_hull_design2/monocoque_planking.htm
4) Cold Molded Timber Hulls (여러 겹의 판자들로 이루어진 선체)
http://www.worldwideflood.com/ark/basic_hull_design2/cold_molded_hull.htm
5) Construction Sequence (방주의 건조 순서. 그림으로 순서대로 표현되어 있음)
http://www.worldwideflood.com/ark/construct/construct_sequence.htm
8. Design Notebook (설계 노트북)
1) Hull Build Sequence (선체 건조 순서)
http://www.worldwideflood.com/ark/design_notebook/hull_build.htm
2) Keel Detailing (방주의 바닥 뼈대 및 배밑부분과 벽부분의 연결)
http://www.worldwideflood.com/ark/design_notebook/keel_detailing.htm
3) The Window (창문)
http://www.worldwideflood.com/ark/design_notebook/the_window.htm
4) The Door (문)
http://www.worldwideflood.com/ark/design_notebook/the_door.htm
5) Transverse Section (횡단면)
http://www.worldwideflood.com/ark/design_notebook/transverse_section.htm
6) Frame Spacing (기둥들의 간격)
http://www.worldwideflood.com/ark/design_notebook/frame_spacing.htm
7) Ramps and Stairs (경사로와 계단)
http://www.worldwideflood.com/ark/design_notebook/ramps_and_stairs.htm
9. Design Drafts (설계 밑그림)
1) Integrated Roof (통합된 지붕)
http://www.worldwideflood.com/ark/design_draft/integrated_roof.htm
2) Lofting an Earlier Hull Design (초기의 선체 디자인)
http://www.worldwideflood.com/CAD/start.htm
3) Midship Section (배 중앙부의 단면)
http://www.worldwideflood.com/ark/design_draft/midship_section.htm
10. Proposed Design (제안된 디자인)
1) Proposed Hull Form (제안된 선체 형태)
http://www.worldwideflood.com/ark/hull_form/prop_hull_form.htm
2) Clues from Ancient Ships (고대 선박들로부터의 단서)
http://www.worldwideflood.com/ark/hull_form/ancient_hull_form.htm
(3) Ark Related (방주와 관련된 자료들)
1. Ship Basics (선박에 관한 기본)
1) Ship Terminology (선박 용어들, 선박 구조 및 유체정역학 용어들)
http://www.worldwideflood.com/ark/terms/ship_terms.htm
2) Basic Hull Design (기본 선체 디자인)
http://www.worldwideflood.com/ark/basic_hull_design/basic_hull_design.htm
3) Lofting a Hull (CAD) (3차원적 선체 모형)
http://www.worldwideflood.com/CAD/start.htm
2. Wood (목재)
1) Gopher Wood (Gopher wood는 무엇인가)
http://www.worldwideflood.com/ark/wood/gopher_wood.htm
2) Marine Timber (바다 환경에서 사용되어지는 목재)
http://www.worldwideflood.com/ark/wood/marine_timber.htm
3) Timber List (목재들의 목록)
http://www.worldwideflood.com/ark/wood/timber_list.htm
4) Wooden Nails (나무 못들)
http://www.worldwideflood.com/ark/design_calculations/tree_nails.htm
5) Wood Strength (나무의 내구성)
http://www.worldwideflood.com/ark/design_calculations/wood_strength.htm
3. Pitch (역청)
1) Pitch (역청)
http://www.worldwideflood.com/ark/pitch/pitch.htm
2) Pine Pitch Tests (소나무 역청 시험)
http://www.worldwideflood.com/ark/pitch/pine_pitch_tests.htm
4. Ventilation (환기)
http://www.worldwideflood.com/ark/ventilation/ventilation.htm
5. Lighting (조명)
1) Oil Lamps (기름 램프들)
http://www.worldwideflood.com/ark/technology/oil_lamps.htm
6. Feeding (먹이)
1) Food Dispensing (먹이 공급)
http://www.worldwideflood.com/ark/feeding/dispensing.htm
2) Water Dispensing (물 공급)
http://www.worldwideflood.com/ark/feeding/water_dispensing.htm
7. Construction (방주의 건조)
1) Ancient Technology (고대의 선박건조 기술, 노아가 사용한 공구 등)
http://www.worldwideflood.com/ark/technology/ancient_technology.htm
2) Animal Power (동물의 힘을 이용)
http://www.worldwideflood.com/ark/technology/animal_power.htm
3) Cranes and Lifting Machines (크레인과 들어올리는 기계들)
http://www.worldwideflood.com/ark/technology/cranes_and_lifting.htm
4) Water Powered Saw (물의 힘을 이용한 톱)
http://www.worldwideflood.com/ark/technology/louver_turbine.htm
8. Ark Models (방주의 모델들)
1) Ark Modelers page (방주의 여러 모델들)
http://www.worldwideflood.com/ark/modelers/ark_modelers.htm
2) Build an Ark Models (한 방주 모델 만들기)
http://www.worldwideflood.com/interact/scale_model/scale_ model.htm
3) Ark Scales Calculator (방주의 척도)
http://www.worldwideflood.com/interact/scale_model/scalator.htm
4) Noah's Ark Canoe (노아 방주 카누)
http://www.worldwideflood.com/interact/canoe/canoe.htm
9. Model Testing (방주 모델들의 평가)
1) Gyroscopic Model (자이로스코프 모델)
http://www.worldwideflood.com/ark/model_testing/gyroscopic_model.htm
2) Construction (방주 평가를 위한 모형의 건조)
http://www.worldwideflood.com/ark/model_testing/tmblog/tm01.htm
3) Hull Form (모형의 선체 만들기)
http://www.worldwideflood.com/ark/model_testing/tmblog/tm02.htm
4) Ship vs Box (선박 대 상자)
http://www.worldwideflood.com/ark/model_testing/tmblog/tm03.htm
5) Bow Sail (방주 앞쪽에 돛을 장착한 실험)
http://www.worldwideflood.com/ark/model_testing/tmblog/tm04.htm
(4) Flood (홍수)
1. Dating the Flood (노아 홍수가 일어난 날짜)
http://www.worldwideflood.com/flood/dating_the_flood/dating_the_flood.htm
2. Waves (추정되는 파도)
http://www.worldwideflood.com/flood/waves/waves.htm
3. Ark Launch (방주의 진수)
1) Launching the Ark (방주가 물에 뜸)
http://www.worldwideflood.com/flood/launch/launch.htm
2) Launch Options (방주가 물에 뜰 때의 상황들)
http://www.worldwideflood.com/flood/launch/launch_options.htm
3) High Launch Site? (방주의 건조 장소는 높은 지역?)
http://www.worldwideflood.com/flood/launch/high_launch.htm
4. Ark Landing (방주의 도착)
1) Is the Ark on Ararat? (아라랏 산에 방주가 있는가?)
http://www.worldwideflood.com/flood/ararat/ararat.htm
5. Flood Legends (홍수 전설들)
1) Flood Legends (홍수 전설들)
http://www.worldwideflood.com/flood/legends/flood_legends.htm
2) Compare to Gilgamesh (길가메쉬와의 비교)
http://www.worldwideflood.com/ark/gilgamesh/gilgamesh.htm
(5) Questions (질문들)
1. Objections (반대들)
1) Too Big for Timber (나무로 건조하기에는 너무 크다)
http://www.worldwideflood.com/objections/too_big_for_timber.htm
2) Impossible for Ancients (고대에 이러한 거대한 선박의 건조는 불가능하다)
http://www.worldwideflood.com/objections/ancients_incapable.htm
2. Quizzes (퀴즈들)
1) Easy Questions (쉬운 퀴즈)
http://www.worldwideflood.com/interact/quizzes/quiz1.htm
2) Famouse Ark People (유명한 방주에 탔던 사람들에 관한 퀴즈)
http://www.worldwideflood.com/interact/quizzes/quiz2.htm
3) Theories & Stuff (이론과 재료들에 관한 퀴즈)
http://www.worldwideflood.com/interact/quizzes/quiz3.htm
3. Decisions (중요한 결정들과 중요하지 않은 결정들)
1) Hundreds of Ark Issues (여러 노아 방주에 대한 이슈들)
http://www.worldwideflood.com/ark/issues/ark_issues.htm
2) Decision Scheme (결정들을 점수화하는 방법)
http://www.worldwideflood.com/ark/issues/decision_scheme.htm
4. Noak's Ark FAQ : Link to AiG (노아 방주에 관련한 질문들과 답)
http://www.answersingenesis.org/home/area/faq/noah.asp
(6) Free Stuff (무료 자료)
1. Free Downloads (무료 다운로드)
http://www.worldwideflood.com/diluvia/diluvia_dl.htm
2. Defining Diluvia (노아 방주를 3차원적으로 만들어 보기)
http://www.worldwideflood.com/diluvia/defining_diluvia/defining_diluvia.htm
3. Diluvia World (홍수 이전 세계는 어떠했을까?)
http://www.worldwideflood.com/diluvia/diluvia_world.htm
4. Sea Simulator 1 (바다 시뮬레이터)
http://www.worldwideflood.com/diluvia/diluvia_dl.htm
5. Fun and Games (노아 방주와 관련한 재미있는 게임들)
http://www.worldwideflood.com/games/fun_and_games.htm
*Most Popular Pages (가장 인기있는 페이지)
http://www.worldwideflood.com/jsmenu/popular.htm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worldwideflood.com/ ,
출처 -
구분 - 5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3032
참고 : 1455|1458|721|2851|1976|2409|708|246|2542|2493|2420|2414|2401|720|2104|2267|2121|1817|1799|1427|512|274|2098|269|2075|4198|4275|4235|4473|4490|4607|4610|6104|6049|6030|6006|4195|2141|6076|5973|5957|5958|5955|5951|5841|5834|5737|5721|5717|5675|5556|5517|5468|5429|5419|5400|5399|5286|5307|5264|5260|5185|4786|4722|4471|4468
어떻게 노아와 그의 가족들은 방주에서 그 많은 동물들을 돌볼 수 있었을까?
(How Could Noah and His Family Care for the Many Animals on Board the Ark?)
John D. Morris
홍수에 대한 성경 이야기를 헐뜯는 사람들은 1년여 동안 단지 소수의 사람들이 방주에서 동물들을 돌보았다는 생각을 조롱해 왔다. 동물의 수와 공포스런 환경을 고려해 볼 때, 그것은 확실히 엄청난 일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는가?
초기의 연구들은 방주에 탄 동물들의 총 수가 성경을 비판하는 사람들이 주장하는 수백만 마리 보다 훨씬 적었음을 보여주었다. 노아의 방주에는 각 동물들을 ‘종류(kind)’대로 두 마리씩을 태우도록 지시를 받았다. 아마도 그 종류라는 개념은 오늘날에 동물 ‘종(species)’보다는 ‘과(families)’ 또는 ‘속(genera)’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면, 개 종류(dog kind)는 늑대, 애완용 개, 딩고, 코요테 등과 같은 많은 종(species)들을 포함하고 있었을 것이다. 더군다나 대부분의 동물들은 작고, 단지 몇 십종들만 크다. 평균적인 크기는 고양이 목(order)의 동물 정도가 될 것이다. (자세한 사항은 우드모라페(John Woodmorappe)가 쓴 뛰어난 책 ‘노아의 방주 : 가능성 연구 (Noah's Ark: A Feasibility Study)’를 읽어보라). 그리고 오늘날 동물들의 대다수는 바다에서 살고 있다. 이들은 방주에 탈 필요가 없다.
그러나 어떻게 그 방주 안에서 지낼 수 있었을까? 수개월 동안 우리에 갇혀있어야만 하고, 방주의 흔들림과 동요, 폭풍의 요란한 소리와 다른 동물들의 존재 속에 둘러싸인 채 말이다 (창세기 7:21-22). 어떻게 그들은 견딜 수 있었을까? 어떻게 육식동물들은 살아갈 수 있었을까?
모든 동물들이 육식을 하지 않고도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들의 영양학적 필요에 주의를 기울여 채워주기만 하면 된다. 일부 육식동물들은 심지어 채식주의 생활 양식을 선택하기도 한다. 다른 동물들에 대한 연구에 의하면, 가령 곰은 과도한 스트레스 상황 하에서는 살아남기 위해 동면(hibernate)을 한다. 많은 다른 동물(아마도 거의 모든 동물)들은 그들이 극복할 수 없는, 그리고 피할 수 없는 위험에 직면하였을 때, 상대적인 동면(relative dormancy) 또는 하면(estivation) 상태에 들어갈 수가 있다. 그러한 상태에서 그들은 최소한의 먹이와 운동을 필요로 하며, 배설물을 거의 만들지 않는다. 공통적이고 압도적인 곤경(predicament) 상황의 존재는 약탈자/먹이(predator/prey) 관계를 제거해 버린다.
성경은 실제로 그러한 상황에 대한 암시를 주고 있다. 노아는 동물들을 위해 ‘안에 간들을 막을(make rooms in it))’ 것을 지시받았다(창세기 6:14). 그러나 여기에 사용된 히브리어 단어는 다른 모든 곳에서 새들에게 적용되어졌던(신명기 32:11) '보금자리(nests)” 라는 단어로 기술되어 있다. 또한 그 단어는 사람들에게도 안전과 휴식을 주는 장소를 말할 때 사용되고 있다(욥 29:18). 이것은 동물들이 단순히 쉬면서 위험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고 있었다는 것을 가리키고 있는 것은 아닐까?
물론 노아의 홍수와 방주 사건은 반복 가능하지도 않고, 오늘날 시험해볼 수도 없는, 독특한 사건이었고, 모든 것을 알고 계시는 분이 상세히 전말을 우리들에게 가르쳐주시지 않았기 때문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알 수가 없다. 그러나 노아를 사랑하시는 은혜로우신 하나님께서 노아의 일을 줄여주시지 않으셨을까?
마지막으로 생각해 볼 것은, 이러한 신비로운 동면 능력의 기원(origin of hibernation ability)에 대해서는 과학적인 어떠한 설명도 없다는 것이다. 사랑이 풍성하신 창조주께서 노아의 방주에 있던 동물들에게 이러한 생존 메커니즘을 부여하면서 기원하지는 않았을까? 아마도 홍수 이전에는 그러한 동면 능력은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오늘날의 모든 동물들은 방주에 있었던 동물들의 후손들이다. 그리고 모두가 그 능력을 물려받았다. 과학은 동면의 기원에 대한 더 나은 설명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모든 사실과 들어맞는 이러한 가설은 고려되어야만 한다.
번역 - 미디어위원회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noah-and-animals
출처 - ICR, 2005. 8. 1.
노아의 방주를 찾아서 2 : 웹 사이트 탐방
노아 방주에 대한 방대한 자료를 모아놓은 웹사이트 http://www.noahsarksearch.com/을 탐방하여 보자.
7) Ararat Airplane Photo Tour and Photo Album by Bob Stuplich
: http://www.noahsarksearch.com/StuplichBob/StuplichBob.htm
(이어서)
West, Western Plateau, Summit
Southwest
8) Ararat Anomaly : http://www.noahsarksearch.com/anomaly.htm
Ararat Anomaly
Close-up view of the 1949 Ararat Anomaly
9) Bowers, Doris Photo Album
: http://www.noahsarksearch.com/BowersDoris/BowersDoris.htm
Fossils behind Simer Hotel south across valley from Ararat #1
Fossils behind Simer Hotel south across valley from Ararat #2
Fossils behind Simer Hotel south across valley from Ararat #6
Fossils behind Simer Hotel south across valley from Ararat
Pillow Lava (베개 용암) Possibly
Pillow Lava Possibly
10) Corbin, B.J. Photo Album : http://www.noahsarksearch.com/CorbinBJ/CorbinBJ.htm
B.J. Corbin - Analysis of Ray Lubeck drawing by B.J. Corbin
11) Eli Photo Album : http://www.noahsarksearch.com/eli.htm
엘리의 폐허 (Ruins of Eli) :
1988 년 우리는 돌 울타리의 밭들과 땅들을 보기위해 엘리 마을(Eli Village)을 찾았다. 이곳은 오래된 야영지 또는 정착지로 보였다. 나는 아라랏산 외곽의 몇몇 곳에서 폐허로부터 돌로된 장신구들과 도구(artifacts)들을 파내었던 것을 기억했다. 아라랏산 주변의 다른 많은 지역에서처럼, 엘리 마을 근처에서는 8개의 십자가가 새겨져 있는 돌들이 있었다.
이러한 폐허들은 아라랏산과 매우 가깝게 있었는데, 그 지역은 전문 고고학자들에 의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만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아라랏산 북서쪽 Korhan 에는 호기심을 자극하는 더 많은 폐허들이 있다. ARF, John Morris, Larry Crews 등이 Korhan을 1960년대, 70년대, 80년대에 이곳을 탐사했다. Larry Crews' photos of Korhan.를 참고하라.
반드시 조사되야할 또 다른 장소는 1840년에 아호라(Ahora) 마을을 따라 (지진으로)파괴되었던 St. James Monastery 이다. 그곳에는 고대의 기록들이 숨겨져 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장소들 모두는 출입이 제한되어 있다. 왜냐하면 아라랏은 테러리스트들이 숨어있을 가능성 때문에 2등급 정도의 군사지역이기 때문이다.
12) Kazan Photo Album : http://www.noahsarksearch.com/kazan.htm
The Stones of Kazan
1998년에 B.J. Corbin은 많은 큰 돌들을 보기 위해서 아라랏산의 서쪽인 Sagliksuyu(old Kazan)을 방문할 기회를 가졌다. 몇몇 사람들은 이 돌들을 노아 방주로부터 온 실제의 닻(anchor) 또는 드로그(drogue, sea anchor)로서 추측했다. 반면에 다른 사람들은 그것들은 무덤의 표시(grave markers)들로 생각했다.
마을 사람들의 말에 의하면, 그것들은 마을에 있었던 오래된 교회 건물의 부분이었다는 것이다. 비록 이 돌들이 원래 Durupinar (보트 모양의 구조)와 관련이 있다 하더라도, 아라랏산은 구름으로 가려졌지만 사진 뒤의 배경에서 보이듯이 실제 매우 가깝다. 아래의 사진들 링크를 이용하면, 당신은 돌에 새겨진 상세한 십자가 그림과 조각들을 볼 수 있다.
들에 있는 돌들
Kazan에 있는 Main Stone의 클로즈 업
십자가들, 그림, 조각들
번역 - 미디어위원회
노아의 방주를 찾아서 1 : 웹 사이트 탐방
노아 방주에 대한 방대한 자료를 모아놓은 웹사이트 http://www.noahsarksearch.com/를 탐방하여 보자.
1. Home
2. Overview
3. ArcImaging : http://arcimaging.org/
; ArcImaging Presentation : http://arcimaging.org/ArcImagingWeb_files/frame.htm
이곳에서는 노아의 방주에 대한 자료와 사진들을 파워포인트 자료로 제공한다.
4. Resources
5. FAQ's : http://www.noahsarksearch.com/faq.htm
; 노아 방주에 관한 질문들에 대한 대답과 대답이 있는 사이트를 링크하여 놓았다.
6. Links : http://www.noahsarksearch.com/links.htm
; 성서고고학, 터키, 노아방주 탐색, 정보 등에 관한 웹사이트들을 총 망라하여 놓았다.
7. Products : http://www.noahsarksearch.com/products.htm
; 책 'The Explorers Of Ararat, And the Search for Noah's Ark” 소개.
482 페이지의 책으로 265장의 사진과 수많은 목격자들의 증언이 잘 정리되어 있다.
8. Urartu : http://www.noahsarksearch.com/urartu.htm
9. Urartu 의 고대 왕국
10. Mt. Ararat
Courtesy Rob Michelson 이 1999년 촬영한 아라랏산
1) Summary of Alleged Eyewitnesses (수많은 방주의 목격 주장 요약)
: http://www.noahsarksearch.com/Eyewitnesses.htm
2) Ed Davis Drawings From 1985-1986
: http://www.noahsarksearch.com/DavisEd.htm
3) Hagopian, George Paintings :
http://www.noahsarksearch.com/LeeElfred/LeeElfred.htm
1955-1969년 나바라의 나무 (Navarra Wood)
1969년 나바라의 아이스 팩에서의 탐사 발견 나무
4) Reshit Account : http://www.noahsarksearch.com/reshit.htm
5) Anderson, Ray Photo Album
: http://www.noahsarksearch.com/AndersonRay/AndersonRay.htm
Ray Anderson / Lawrence Hewitt M.D. 1973
Ray Anderson with Ahora Village & Ahora Gorge in Background 1982
Ray Anderson Sites on Bob Garbe/Chuck Aaron Photo with B.J. Corbin Graphics 1988
Ray Anderson Upper Site 1988 on Bob Garbe/Chuck Aaron Video
Ray Anderson 1998 Drawing Based on 1973 Slide
6) Aalten, Gerrit Photo Album
: http://www.noahsarksearch.com/AaltenGerrit/AaltenGerrit.htm
Fossils from sea floor behind Sim'Er Hotel southeast of Dogubayazit just across Mount Ararat plain 2001
7) Ararat Airplane Photo Tour and Photo Album by Bob Stuplich
: http://www.noahsarksearch.com/StuplichBob/StuplichBob.htm
East Glacier
East Glacier, Northeast, Ahora Gorge
Northeast, Ahora Gorge
Northeast, Ahora Gorge, Cehennem Dere
(다음에 계속 됩니다)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noahsarksearch.com/
그 많은 동물이 다 방주 안에?
김정훈
성경에 기록된 사건들을 역사상에서 실제로 일어났던 사건으로 받아들이기를 거부하는 회의론자들에게, 특히 많은 조롱을 받았던 성경기록 중의 하나는 아마도 창세기에 나와있는 노아의 방주일 것이다. 성경은 기록하기를, 육지에 있어 코로 생물의 기식을 호흡하는 것은 다 죽었으나, 노아와 함께 방주에 있던 그의 가족과 동물들은 생명을 보존하였다고 한다(창 7:22-23). 그렇다면, 홍수이후 오늘날 우리가 보는 모든 지상의 동물들은 과거 노아의 홍수 때, 방주 안에서 생명을 보전하였던 그 동물들로부터 비롯되었다는 말이 되는데, 과연 노아의 방주 속에 그 많은 동물들을 한 쌍씩 실을만한 충분한 공간이 있었을까?
성경은 방주의 제도를, 길이가 300규빗, 넓이가 50규빗, 그리고 높이가 30규빗이라고 분명하게 기록(창 6:15)하고 있는데, 한 규빗을 대략 45cm으로 보면, 길이가 약 140m, 넓이가 23m, 그리고 높이가 14m가 되어, 방주의 크기는 미국의 철도 화물차량 522칸에 해당하는 부피를 가지게 된다. 그런데, 화물차량 한 칸에는 대략 240마리의 양을 실을 수 있다고 하니, 방주 안에 양을 싣는다면, 자그마치 125,280마리의 양이 들어갈 수 있게된다. 자, 그러면 이제 지상의 동물 가운데 방주에 들어갈 동물의 수를 헤아려 보기로 하자.
하나님께서는 노아에게 홍수로 인하여 땅에서 생명의 기식이 있는 육체가 다 멸절할 것이므로(창 6:17), 새와 육축과 땅에 기는 모든 것을 각각 그 종류대로 한 쌍씩 그 생명을 보전케 하라고 말씀하시었는데(창 6:20), 오늘날 지구상에 살아있는 동물 중 이 범주에 해당하는 것은 우리가 소위 포유류, 조류, 그리고 파충류와 양서류라고 부르는 것들로서, 이들 모두를 합한 종의 수는 대략 17,600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이들을 한 쌍씩 실으려면 35,200마리의 동물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들의 몸의 크기는 각기 다르지만, 한 계산에 의하면 이들을 크기 순으로 배열하였을 때 중간에 위치하는 동물은 대략 조그마한 쥐의 크기에 해당되며, 양보다 더 큰 동물은 대략 11%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나, 여유 있게 잡아 이들의 평균 크기를 양으로 생각한다면, 방주에 실어야할 동물의 수는 결국 양 35,200마리에 해당하게되고, 앞서 말한 바대로 방주에는 125,280마리의 양을 실을 수 있으므로 이들 동물을 각종의 수대로 한 쌍씩 싣고도 그 두배 이상의 공간이 방주에는 남게된다는 계산이다. 아마도 방주의 남는 공간에는 노아의 식구와 동물들이 먹을 식량과 그들의 배설물, 그리고 통풍을 위한 여유 공간으로 쓰였을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성경이 말하는 종류(히브리어로 min)이라는 단어가 실제로 오늘날 생물학자들이 정의하는 종을 지칭하는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은데, 창조과학자들은 대체로 성경에서 말하는 종류를 적어도 생물 분류학상의 *속*이나 *과*에 해당하는 개념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렇다면, 방주에 들어갈 동물의 수는 더욱 더 줄어들게 되어 방주는 그들을 수용하고도 더욱 충분한 여유 공간을 가졌을 것이다.
생각하는 자는 믿을 수밖에 없다는 누군가의 말처럼, 막연한 추측을 떠나 실제로 계산을 해봄으로서 우리는 성경의 정확함을 발견하게 된다. 위에서 양보다 큰 지상의 동물은 전체의11% 정도라고 했는데, 그러면 그 중에서도 공룡과 같이 몸집이 큰 동물은 과연 어떻게 방주에 실었을까? 생각하는 자는... 그렇다! 동물을 방주에 싣는 목적은 그 종류를 보전하기 위함이므로, 방주에 실리는 동물은 사람으로 치면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나이(young adult)이어야 가장 생식적으로도 적합하지 않았을까? 공룡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몸집도 비례하여 커감으로, 이 나이의 공룡은 아직 그리 방주에 못 들어갈 만큼 크지는 않았지 않았겠는가?!
한편, 성경의 기록에 의하면 홍수는 자그마치 1년여나 지속되었다고 하는데(창 7:11, 8:13), 방주 안에서 이들 동물들과 함께 타고 있던 노아의 가족 8명이 그 많은 동물들을 1년 동안이나 돌보는데 이들 8명의 사람만으로 과연 이 일이 가능하였을까?
연구된 바에 의하면, 오늘날 기계화된 최신 설비를 갖춘 공장식의 가축 사육장은 두말할 것도 없거니와, 전혀 기계화되지 않은 시골에서의 가축 사육의 경우에도 단지 한사람만의 힘으로 수백 마리의 토끼, 돼지와 송아지 등을, 혹은 수천 마리의 비둘기나 암탉 등을 돌볼 수 있다고 한다. 그런데, 이 경우는 비교적 자유스러운 시골 환경에서 동물의 교배 등을 통해 보내는 시간을 포함하여 나온 계산이지만, 제한된 공간을 갖는 방주 안에서는 이 같은 일로 보내는 시간이 줄어들어 한 사람당 더 많은 동물을 돌볼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었을 것이다. 여기에다가 만약에 각 동물들이 필요로 하는 식량을 각기 그들의 우리 곁에다가 비치하는 방법으로 동물들을 방주에 배치하였다면, 동물들에게 식량을 운반하느라 보내는 시간과 노동을 충분히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었을 것인데, 방주의 제도를 알려 주셨던 하나님께서 이와 비슷한 방식의 가장 효율적인 동물 관리 방법을 또한 노아에게 알려 주시지 않았겠는가? 이 같은 사실들로 미루어 볼 때, 8명의 노아의 가족이 한 사람당 약 4,500마리(혹은, 방주에 실린 동물을 분류학상 속의 범주로 본다면, 한 사람당 2,000마리)의 동물을 돌보는 것도 오늘날의 상식에 비추어 보아도 충분히 가능한 일임을 알 수 있다.
세상이 홍수로 멸망하고 있는 동안, 방주 안에 있는 동물들은 약 1년에 걸친 적지 않은 기간을 그 속에서 보내야만 되었는데, 방주의 용량은 이들을 다 수용하고도 상당 부분의 여유 공간이 있을 만큼 넓기는 하였지만, 이들의 활동을 제한하였을 것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그런데, 한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대부분의 동물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동면이나 또는 이와 비슷한 수준의 활동 둔화기를 갖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비록 온도나 계절과 같은 주위 환경의 변화에 의하여 그 정도가 조절되고 있기는 하지만, 제한된 공간에 처하거나 몸의 필요에 따라서는 온도나 계절에 아랑곳 없이도 나타난다고 한다. 만약, 방주의 동물들이 평균 이틀에 한번정도 이 같은 활동 둔화기를 가졌다면, 노아의 8식구가 돌봐야될 동물의 수는 절반으로 줄어들게 될 것이며, 그에 따른 식량의 소비도 반으로 줄어들게 될 것이다. 만약에 동물들이 4일 중의 3일을 활동 둔화기로 보낸다면, 그 수는 더욱 줄어 한 사람당 1,123(혹은 500)마리의 동물만 돌보면 된다는 계산이 나온다. 성경에는, <하나님이 노아와 그와 함께 방주에 있는 모든 동물들을 권념하사(창 8:1)>라는 말이 나오는데, 우리는 그것이 동면과 비슷한 동물의 활동 둔화 상태이었는지 혹은 어떤 다른 초자연적 돌보심이었는지 알 길이 없지만, 분명한 것은 하나님께서 어떤 형태로든 이들을 잊지 않고 특별히 돌보셨다는 사실이다.
그 많은 동물이 다 노아의 방주 안에 있다는 사실이 언뜻 보기에는 믿겨지지 않아도, 알려진 과학적 정보를 토대로 철저한 계산을 하여보면 오히려 그 역사적 사실성을 더욱 뒷받침할 수 있음을 발견하게된다. 미국 창조 과학 연구소의 John Woodmorppe는 노아의 방주에 관한 모든 문제들을 연구하여 <노아의 방주: 그 적합성 연구>라는 역작을 내놓았니 이 주제에 관하여 더 자세히 알기를 원하는 분은 이 책을 구하여 읽어보기를 권한다.
-이브의 배꼽, 아담의 갈비뼈-중에서
*참조 : Hibernation, Migration and the Ark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5482/
출처 - 이브의 배꼽, 아담의 갈비뼈
노아홍수 (15) - 방주에서 동물들을 어떻게 돌보았나?
이재만
”너는 먹을 모든 식물을 네게로 가져다가 저축하라 이것이 너와 그들의 식물이 되리라'(창 6:21)
하나님께서 홍수 동안 방주에 있으면서 먹을 양식을 저장하라고 명하신다. 이 먹을 식물은 '너와 그들' 즉 노아 가족과 방주에 탔던 동물들을 위한 것일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방주의 용적이 모든 코로 기식하는 동물이 타기 적합할지라도 노아의 가족들의 문제는 이제부터 시작되었을 것이라 여긴다. 바로 이 모든 동물들을 어떻게 먹여 살렸을까 하는 회의적인 생각 때문이다.
동물들의 생활특징 중에 하나가 있는데 바로 동면, 즉 겨울잠이 있다. 겨울잠은 기온이 떨어지면 동물들에게 나타나는 가장 일반적 현상이다. 기온이 떨어지면 동물들은 체온이 내려가고 호흡이 늦어지며 모든 신지대사가 감소한다. 모든 파충류와 양서류는 겨울잠을 자며, 모든 포유류와 조류 또한 겨울잠의 잠재능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이 왜 겨울잠을 자는지는 과학자들의 궁금증 중에 하나이다. 과학자들은 단지 겨울잠을 자고 있는 이들의 모습과 어떤 형태로 겨울잠을 자고 있는지 만 관찰하고 있을 따름이다.
겨울잠으로 유명한 몇몇 동물들을 살펴보면 흥미롭다. 포유류 가운데 북극 다람쥐는 영하에서 겨울잠을 하는 데 3주에 한번씩 거동을 한다. 북극 흑곰은 겨울 7달 동안 수시로 잠을 자는데 암컷은 겨울잠을 자면서도 세 마리의 새끼를 낳기도 한다. 새 가운데 겨울잠으로 유명한 쏙똑새는 10월에서 3월까지 잠을 자는데 체온이 화씨 106도에서 64.6도로 떨어지기도 한다. 다람쥐는 평상시는 심장이 1분에 150회를 박동하다가도 동면을 할 때면 놀랍게도 1분에 5회 정도로 뚝 떨어져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 하는데, 잠을 자다가도 잠시 따뜻한 날씨를 보이면 양식을 먹으려 거동하다가 추워지면 다시 잠이 든다. 박쥐, 고슴도치, 햄스터, 쥐, 너구리, 오소리 등도 겨울잠을 자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포유류나 조류는 일반적으로 얕은 잠을 자는 반면 변온동물인 거북이, 뱀, 도룡용, 개구리와 같은 파충류와 양서류는 죽은 듯이 겨울잠을 잔다.
겨울잠을 들기 전에 동물들의 준비는 철저하다. 일단 먹이를 최대한의 양의 먹이를 섭취해 몸에 지방을 비롯하여 영양분을 많이 비축해 둔다. 다른 하나는 오랫동안 일광욕을 함으로서 오랜 기간 굴속이나 햇빛이 들지 않는 곳에서 버틸 준비를 한다.
노아홍수는 모든 깊음의 샘들이 터지며 하늘의 창들이 열린 사건이었다. 지하수가 터지고 화산활동도 활발했던 격변적 사건이었다. 화산이 폭발하면 일반적으로 그 지역의 기온이 급격히 떨어진다. 왜냐하면 화산활동과 수반해서 분출된 화산재가 대기에 한동안 떠있게 되는데, 이는 지구로 오는 태양의 복사에너지를 차단하기 때문이다. 노아홍수 때 전 지구적인 화산활동이 있었다면 홍수 동안 지구는 매우 추운 시기를 경험했을 것이며 이는 바로 방주에 있던 동물들이 겨울잠을 자도록 했음에 틀림없다. 그리고 이들의 겨울잠은 노아가족들의 돌보아야 할 부담을 최소로 줄였을 것이다.
이러한 겨울잠에 관한 가능성은 대부분의 동물들이 잠을 자고 있었을 방주 안의 풍경을 상상케 하며 매우 설득력 있는 답을 준다. 동면의 능력이 창조 때 이미 있었든지, 아니면 홍수 때 하나님께서 동물들에게 주셨던지 간에, 하나님께서 홍수 동안 겨울잠을 사용하지 안으셨을 리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언제나 그렇듯이 우리는 성경 속에 더 분명한 답을 찾게 된다. 구원 받을 노아 가족이 탑승할 방주의 자상하게 디자인하는 모습과 동물들이 들어가는 방식을 꼼꼼하게 챙기시는 말씀과, 하나님께서 먹을 것을 저축하라 하시는 명령은 노아가 감당키 어려운 일을 주셨으리라는 생각을 버리게 한다. 더군다나 홍수 동안 ”하나님이 노아와 그와 함께 방주에 있는 모든 들짐승과 육축을 권념하셨다(remember)”(창 8:1)는 기록을 통하여 나머지 남아있던 일말의 염려조차도 털어 버리게 된다.
노아홍수 (10) - 통풍장치와 규모
이재만
”거기 창을 내되 위에서부터 한 규빗에 내고 그 문은 옆으로 내고 상 중 하 삼 층으로 할지니라'(창 6:16)
하나님께서 친절히 통풍을 위한 창을 어떻게 만들 것을 말씀하신다. 위에서부터 한 규빗에 창을 내라고 하셨다. 이 창은 노아가족과 방주에 탔던 동물들에게 공기를 공급하는 통로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방주에는 많은 동물들의 호흡과 체온을 통해 실내 공기와 온도가 적절히 유지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을 텐데 이 창은 이들을 위한 효과적으로 설치되었을 것이다. 창의 크기와 개수가 언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 많은 동물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와 열로부터 이 창들이 어느 정도의 역할을 했을 것인가 과학적 계산은 쉽지 않다.
또한 노아홍수 기간에 바람의 세기도 실내 공기와 온도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그러나 앞으로 홍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다루겠지만 물이 감할 때 바람으로 감하셨다(8:1)고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바람이 홍수 당시에 매우 거셌음을 짐작하게 하며 이는 이 창들을 통한 적절한 공기의 유입을 가늠케 한다. 또한 이 창은 방주 안이 깜깜하지 않도록 실내를 밝게 만들어주는 역할도 했을 것이다. 물론 홍수 동안에 날씨가 쾌청하지는 않았겠지만 내부의 밝기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는 것은 짐직할 수 있다.
방주는 농구장처럼 단층이 아니라 삼 층으로 지으라고 하셨다. 이는 경제적으로 실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셨음을 보여준다. 방주에 성경에서 말하는 동물들이 모두 탑승할 수 있는지에 대한 대답은 많은 과학자들이 그 가능성에 대하여 이미 여러 번 계산을 해왔으나 언제나 타당한 답을 주어왔다. 방주에는 창조주간의 다섯째 날과 여섯째 날에 창조되었던 모든 동물이 들어간 것이 아니라 특별히 "육지의 코로 생물의 기식을 호흡하는 것(창 7:23)"만이 들어가도록 하셨다. 그렇다면 방주에 들어간 동물들은 포유류, 조류, 파충류와 양서류 등이었음을 알 수 있다.
오늘날 살고 있는 포유류는 3,500종, 조류는 8,600종, 파충류와 양서류는 5,500종 정도 이다. 이들의 수는 총 17,600 마리이며 한 쌍씩 들어갔을 경우 35,200 마리이다. 그 짐승이 정확이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 하더라도 정결한 짐승은 일곱 쌍씩, 부정한 짐승은 두 쌍씩 들어간 것을 고려하면 방주에 탔던 동물들이 총 5만 마리를 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계산이다. 한편 방주의 크기는 기차의 520 화물 칸 정도의 크기인데, 모든 동물들의 평균 크기가 양(羊) 만 하다고 가정할 경우(실제로 양보다 작다) 방주에는 125,280 마리의 양이 들어갈 수 있는 계산이 나온다. 계산상으로도 방주의 크기는 성경에서 언급된 동물들을 태우고 남는다는 것을 지시한다. 그러나 실제로 '종류대로'라고 하는 것이 생물을 분류하는 최소의 단위인 '종'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교배가 가능한 기준이라고 한다면 생물 분류의 '속'과 '과'까지 확장될 수 있으며, 그렇다면 그 숫자는 더욱 줄어들 수 있다.
수치적으로도 방주는 넉넉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우리는 성경을 통해서 더 확실한 답을 찾을 수 있다. 당연히 하나님은 충분한 크기로 방주를 제도하셨을 것이며 ”홍수 동안 먹을 식물을 저장하라고”(6:22)말씀을 보더라도 그 내면에 방주가 동물들을 모두 채우고도 충분한 공간이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노아홍수에 대한 내용은 실제로 일어났던 내용을 기록한 것이므로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갈수록 더 타당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방주는 아주 정확하고 자세하게 기록되었다. 만약에 모세가 노아홍수를 자신이 지어서 하나의 상징으로 또는 신화로 수록하였다면 방주에 대하여 크기, 내부구조, 창, 재료, 방수처리 등 그렇게 자세히 적을 필요가 있었을까? ”모세를 믿었더면 또 나를 믿었으리니 이는 그가 내게 대하여 기록하였음이라, 그러나 그(모세)의 글도 믿지 아니하거든 어찌 내(예수님) 말을 믿겠느냐?”(요 5:46-7) 창세기를 사실로 믿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 사실임을 믿는 초석이 된다고 예수께서 직접 말씀하셨다.
노아홍수 (9) - 엄청난 규모의 방주를 어떻게
이재만
"그 방주의 제도는 이러하니 장이 삼백 규빗. 광이 오십 규빗, 고가 삼십 규빗이며” (창 6:15)
하나님께서 디자인하신 방주의 크기는 1규빗을 45cm로 가정했을 때 길이가 135m, 폭이 22.5m, 높이가 13.5m에 해당한다. 이 크기는 축구경기장의 길이보다는 넓고 폭이 1/3정도가 넘는 크기이다. 물론 규빗이라는 길이가 다소 유동적이라 할지라도 그 규모는 가히 엄청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어떤 사람들은 그 큰 규모를 보아 여덟 명의 가족이 방주를 짓는 일은 불가능 할 것이라고 말한다. 정말 노아는 방주를 지을 수 있었을까? 먼저 집고 넘어가야 할 부분은 이에 관하여 성경에서 언급하지 않기 때문에 섣불리 접근할 수는 없다. 그러나 가능한 가정들을 해보고 이것이 어떤 결과를 보여주는가 보자.
하나님은 노아의 때에 죄악 된 문명을 향한 그의 심판이 120년 내에 올 것이라고 예언하셨다(창 6:3). 방주에 대한 규모를 정확히 언제 알려주셨는지 모르지만(창 6:14-16), 노아가 120년의 충분한 경고 기간을 가졌다고 생각하자. 노아의 아들들은 노아가 오백세 때 태어나기 시작했으며(창 5:32), 홍수는 6백 세 때 홍수가 일어났으므로(7:6), 아들들은 홍수 백 년 전에 태어나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몇 년이 지난 후에야 아버지를 도울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다른 도울 수 있었던 사람들도 염두에 둘 수 있다. 예를 들면 할아버지인 므두셀라는 방주를 완전히 지었을 때까지 살아있었으며, 홍수가 나던 해에 죽었다. 또한 족보를 기초할 때, 노아 아버지 라멕을 비롯하여 우리가 알지 못하던 경건한 다른 사람들도 남아 있었을 것이다.
어쨌든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모두는 노아와 그의 아내, 세 아들과 그들의 아내들 여덟 명 뿐이므로, 가장 최소의 조건만을 고려해 보자. 단지 노아와 그의 세 아들들 만이 돕는 것이 가능했다고 가정해 보는 것이다. 위의 방주 규모를 고려하면 전체 방주의 부피는 약 41,000 입방미터이다. 방주의 구조는 거의 빈 공간으로 구성되었을 것이다. 대부분의 집들은 95%가 빈 공간이다. 커다란 선박일 경우 공간이 더 적은데 가장 빽빽한 배의 구조를 적용해 방주 부피의 20%가 목재로 이루어졌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그 목재의 부피는 약 8200 입방미터가 된다.
방주는 멋이나 속도를 낼 필요도 없었으며, 단지 튼튼하게 떠있는 것이 중요했을 것이다. 마치 단순한 헛간에 더 가까울 것이다. 아주 느린 속도를 고려해서 네 명의 경험 있는 사람이 하루에 평균 0.42 입방 미터(길이, 폭, 높이가 각각 75cm인 정육면체 크기)를 만들어 나간다면, 일 년에 131 입방 미터씩 지을 수 있다(주일은 쉰다고 가정). 그렇다면 전체 목재 부피인 8200입방미터를 일 년 동안 가능한 양인 131 입방미터로 나누면 약 63년이 채 안 걸려 방주를 완성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가장 최소한의 조건을 고려해도 63년이면 충분한 것이다!
의롭고 흠 없는 노아는 성실히 임무를 완수했을 것이다. 우리가 볼 수 있는 것처럼 가장 악조건만을 고려했을 경우에도 노아가족만으로 방주를 짓는 기간은 충분하였을 뿐 아니라, 이 단순한 계산을 통해서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우리의 신뢰가 강화될 수 있다.
노아홍수 (8) - 역청은 어디서?
”너는 잣나무로 너를 위하여 방주를 짓되 그 안에 간들을 막고 역청으로 그 안팎을 칠하라' (창 6:14)
앞선 13절에 사람들을 땅과 함께 멸하겠다고 하신 하나님은 곧바로 노아가족을 구원할 도구에 대하여 말씀하신다. 바로 방주이다. 재료는 잣나무이며 내부구조는 농구장처럼 텅 빈 공간이 아니라 간(rooms)들로 막는 여러 개의 방으로 이루어진 방주였다. 그런데 여기서 간혹 질문을 받는 부분이 하나님께서 방주의 안쪽과 바깥쪽을 칠하라고 한 재료, 바로 '역청(pitch)'에 관한 것이다.
역청은 홍수 동안에 방주에 물이 들어오지 않도록 방수처리를 위한 것이었을 것이다. 질문자들의 의도는 역청은 석유나 석탄에서 추출되는데, 만약에 노아홍수 동안에 석탄과 석유가 형성되었다면 홍수 이전인 노아 때는 방주를 칠할 만큼의 역청을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지 않았겠냐는 것이다.
오늘날 역청은 석탄 타르(tar)가 열을 받고 증류된 뒤 남은 검은색의 아교 같은 물질인 아스팔트나 암갈색의 물질로 생각한다. 이들은 열이 가해진 석탄으로부터 대규모로 생산된다. 그러나 석탄 타르가 역청을 위한 유일한 근원물질이 아니다. 지질학 사전을 참고하더라도 거기에는 역청은 '증류되고 열을 받은 나무에서 추출될 수 있다'고 요약되어있다. 실제로 원유나 석탄이 실 생활에 사용되기 이전에 사람들은 어떻게 역청이 만드는 지 이미 알고 있었다.
1천년 전에 유럽에서 역청을 만드는 산업이 부흥한 적이 있는데 커다란 선박을 건설하는 산업이 번창할 때였다. 역청을 만드는 것은 숙련이 필요했는데 유럽사람 이름의 성을 보더라도 많은 사람들이 이 직업에 속했었다는 내용을 알 수 있다. 폴란드에서 역청이나 타르란 내용을 뜻하는 단어는 스몰라(smolar)이다. 그런데 폴란드의 전화번호부를 펼쳐보면 Smola, Smolander, Smolen, Smolenski, Smolarz 등과 같은 내용을 쉽게 볼 수 있으며, 그 의미가 바로 '역청을 만드는 사람'이다.
독일도 마찬가지로 역청이란 단어가 ‘teer’인데 Teer와 Teerman 등의 이름들을 발견할 수 있다. 영국에도 Pitcher, Tarrier 또는 Tarmen 등 역청을 의미하는 이름들이 있다. 이들 모두는 역청을 대량으로 만들어 팔았다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전 유럽을 통하여 아주 일반적 이름이다.
그러면 석유와 석탄산업이 번창되기 전에 사람들은 어떻게 역청을 만들었는가? 먼저 당시에 울창했던 소나무에서 송진을 추출한다. 그 다음 나무줄기를 끌로 파서 빼쭉한 가시모양을 만들어 송진이 그 홈으로 내려오게 하여 나무 밑에 항아리에 모은다. 송진이 더 이상 흐르지 않으면 그 나무들을 베어 흙이나 재로 덮어 공기를 차단한 채로 천천히 태워져서 가볍고 검은 순수한 탄소의 형태인 숯(charcoal)을 만든다. 마지막으로 이미 얻어진 송진에 분말의 숯을 추가하면 커다란 선박의 방수처리를 위한 역청이 만드는 것이다. 이 숯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성질의 역청을 생산할 수 있다.
노아가 이와 똑 같은 방법으로 역청을 만들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위의 내용은 홍수의 대격변 동안에 만들어진 석탄과 석유 없이 역청을 만들 수 있다는 충분한 가능성을 보여준다.
역청(pitch)은 히브리어로 kopher인데 '덮는다'란 뜻을 갖고 있다. 또한 그 의미는 '속죄(atonement)'로 사용되기도 한다. '내가 이 피를 너희에게 주어 단에 뿌려 너희의 생명을 위하여 속하게(atonement) 하였나니 생명이 피에 있으므로 피가 죄를 속하느니라(atonement)'(레 17:11). 속죄 양이신 예수님의 피로 생명을 얻음 같이, 방주를 덮었던 역청이 심판의 홍수가 들어오지 못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모습이 그려지지 않는가?
구분 - 2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2401
참고 : 4198|4275|4235|4473|4490|4607|4610|6547|6545|6543|6535|6531|6508|6507|6558|6551|6559|6549|6462|6417|6431|6524|6415|6413|6330|6254|6255|6240|6228|6225|6223|6222|6136|6170|6104|6076|6030|5556|5973|5468|5958|5957|5951|5898|5527|5841|5737|5721|5675|5429|5419|5400|5399|5286|5260|4805|4211|4217|4214|4132|3968|3948|3111|4363|3044|3278|2912|2050|1493|1464|1192|557|2104|512|3032
노아 방주의 비판에 대답하고 있는 책
(The Resource for Answering the Critics of Noah's Ark)
John Woodmorappe
노아의 방주는 실제로 얼마나 많은 동물들을 운반했을까? 그리고, 노아는 어떻게 모든 동물들을 방주 안에 모을 수 있었을까? 어떻게 8명의 사람이 수천 마리의 동물들을 보호하는 것이 가능했을까? 그리고 어떻게 그러한 적은 승무원들이 매일 발생했을 수 톤의 배설물들을 처리할 수 있었을까? 어떻게 신선한 유칼립투스(eucalyptus) 잎만 먹는 코알라(koala)가 방주 안에서 1년 동안 살아남을 수 있었을까? 이와 유사한 수많은 질문들이 노아의 방주에 대해 있어왔다. 수세기 동안 회의론자(skeptics)들은 노아의 방주와 전 지구적인 홍수의 진실성에 반대하는 주장들을 해왔고, 그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며 고소해 하고 흡족해 왔다. 최근에 이와 같은 논쟁들은 잦아졌고, 노아 방주에 대한 초기 회의론자들의 주장을 앵무새처럼 따라하는 현대의 반창조론자들의 수는 더욱 많아졌다.
타협해버린 복음주의자들은 이들 반성경적인 주장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였고 (그렇게 많은 과학자들이 틀릴 리가 없다고 생각하며), '구원”을 말하고 있는 홍수를 티그리스-유프라테스 강의 지역적인 평범한 홍수로 간주해버렸다. 성서의 가르침을 사실 그대로 받아들이려는(한 번의 전 지구적인 홍수를 포함하여) 많은 보수적인 신앙인들은 이러한 지식인들의 소리와 노아의 방주를 비판하는 주장들에 의해 불필요하게 위협을 받았다. 그 결과, 많은 신앙인들은 노아의 방주에 관한 불가능할 것 같은 여러 질문들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은 그것에 대한 기적적인 해결책(miraculous solutions)만을 가정하는 것이라고 생각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주를 비판하는 모든 주장들을 살펴볼 때, 그들 주장들에 대한 적어도 어떤 종류의 긴밀한 방법으로의 학술적인 반박들이 확실히 부족했음을 보게 된다. 실제로 노아의 방주에 관해 주장되는 어려움 등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를 오늘날에 해 본적이 없다. 최근에 출판되어진 본인의 저서인 '노아의 방주, 그 가능성 연구 (Noah's Ark: A Feasibility Study)” 라는 책은 동물 관리에 대한 수많은 책들과 논문들을 읽고 조사한 7 년 동안의 고통스러운 연구에 대한 결과물이었다. 그 책은 ICR의 명예 회장인 헨리 모리스 박사(Dr. Henry M. Morris)가 서문을 썼고, ICR의 25번째 창립 기념일에 봉헌되었다.
그 책에는 약 1200 여개의 참고문헌들이 포함되어 있다. 거기에는 노아의 방주를 반대하는 모든 주장들은 체계적으로 검토하였고, 그러한 주장들은 모두 지식의 부족에 기인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사실, 노아의 방주를 비판하는 대부분의 주장들은 처음에는 표면상 그럴 듯해 보였으나, 쉽게 잘못된 것으로 바뀌어졌다.
시작하기에 앞서, 노아의 방주에는 약 5천만 종(species)의 생물체들을 실어야 했을 것이라는 회의론자들의 반복되는 비난을 추방해버리기 위해, 나는 어떤 종류의 생물체들이 방주에 들어갔는지 성경이 실제로 가르치고 있는 것을 재검토하였다. 얼마나 많은 동물들이 방주에 들어가야 했는지를 계산해보니, 대략 16,000 마리에 달하였다. 동물들의 크기는 매우 다양함으로, 숫자만으로는 이들의 계산은 별로 유익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16,000 마리의 동물들을 몸무게에 의해 나누었다. 그 결과 가장 작은 벌새(hummingbird, 몇 그램 정도)를 포함하는 그룹에서부터 가장 큰 공룡(dinosaur, 성체인 경우 거의 100톤)을 포함하는 그룹까지 8 개의 지수함수적 카테고리(logarithmic categories)로 동물들을 나누었다. 대부분의 동물들은 작았기 때문에, 방주 안에 있던 중간 크기의 동물은 쥐(rat) 정도의 크기였다. 단지 15% 정도의 동물들만이 양(sheep)의 크기 또는 그보다 더 큰 동물들이었는데, 이들이 많은 먹이를 섭취하고 대부분의 배설물을 만드는 동물들이었다.
동물들에게 필요한 주거 공간을 측정하기 위해서, 해당되는 동물 집단을 위한 실험동물 거주 기준을 적용했다. 또한 몸무게에 의한 분류와 동물의 먹이 섭취량에 대한 정확한 측정을 통해, 동물들이 371일 동안 방주에 살아가기 위해서 얼마나 많은 먹이(food)와 물(water)을 필요로 하는지에 대해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특별히 강조될 것은 대형 포유류 초식동물과 그들이 요구하는 거대한 양의 건초(bulky hay)가 방주 안에 있었다는 것이다. 방주는 동물들과 그들이 먹을 물과 먹이들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가지는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동물의 배설물은 어떻게 됐을까? 나는 대략 12톤의 배설물이 방주 안의 모든 동물에 의해 매일 만들어졌다는 것을 발견했다. 축산관련 문헌들과 동물들의 대량적인 배설물에 관한 여러 다양한 처리 방법들에 대한 조사를 통해, 나는 8명의 사람이 이 많은 배설물들을 쉽게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매일 동물 배설물들을 제거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여러 다양한 폐기물 관리 방법의 가능성들을 평가하였고, 폐기하지 않고 방주 내에 지속적으로 축적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평가하였다. 이 방법들은 모두 실용적이었고, 실행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으며, 오늘날에 축산 폐기물의 처리 방법에 의해서 실증되고 있었다.
8명의 사람이 그렇게 많은 동물들을 돌보는 것은 불가능 했을 것이라는 많은 주장들에 답하기 위해, 다양한 상황 하에서 주어진 수의 동물들을 돌보는 데 필요한 시간과 이에 근거한 실제적인 사람의 노동력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는 간단한 도구(농촌에서 사용하는 연장들)들을 사용해서, 일주일에 6일, 하루 10시간을 일할 때 8명의 사람이 16,000 마리의 동물들을 보살피는 것이 가능함을 밝혀내었다.
포획된 야생 동물들을 키우는데 가장 어려운 면 중의 하나는 각종 동물들이 요구하는 먹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놀랍지 않게도, 방주를 비판하는 주장들의 중심에는 노아가 이런 먹이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불가능했을 것이라는 주장들이 있었다. 이러한 동물들에는 육식동물들을 포함하여, 살아있는 것을 먹는 동물, 부패하기 쉬운 먹이를 먹는 동물 등과 같은 특별한 식사를 하는 동물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나는 먼저 커다란 육식동물(예를 들면 사자)들에 대해 조사하였는데, 사료(말린 고기들을 섞은)를 공급함으로서 그들에게 고기(meat)를 공급하는 것이 불필요하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그리고 곤충을 먹는 박쥐와 (부드러운 부리를 가진) 새와 같이 오직 살아있는 음식만을 먹는 동물들에 대해 조사하였는데, 그들은 방주 안에서 먹이가 될 곤충들을 배양함 없이도 유지되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매우 특별한 먹이만을 먹는 동물들을 연구했다. 노아는 방주에서 코알라를 위해 유칼립투스(Eucalyptus) 나뭇잎을 경작할 필요가 없었으며, 팬더를 위해 대나무를 키울 필요가 없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나는 또한 흡혈 박쥐(vampire bats), 코브라 뱀(king cobras), 특수한 잎만 먹는 영장류들, 세 발가락 나무늘보(three-toed sloths)가 어떻게 방주 안에서 살아갈 수 있었는지를 보여주었다.
방주 안에서 동물들의 동면(hibernation)에 대해서도 연구했다. 다른 동물들이 다양한 상황 하에서 겨울잠을 자기 때문에 이 요소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들을 표로 만들어 놓은 포괄적인 자료는 없었다. 동물들은 어떤 형태의 휴면 상태(dormancy)도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이 전통적인 생각이었다. 나는 실제로 많은 동물들이 방주의 환경 속에서도 휴면상태에 들어갈 수 있었다는 사실을 실증하였다. 그러나 동물들의 장기간에 걸친 휴면상태는 사실 필요하지 않았다.
동물들을 돌보는 데에 필요한 다른 많은 측면들이 조사되었다. 거기에는 방주에 산소를 공급하는(환기) 문제, 야생동물을 다루는 행동적 문제, 밀집(군집)으로 인한 문제, 운동의 필요성, 목욕 시설의 설비, 우리 안에서의 동물들의 생존, 그리고 다른 많은 주장된 문제들이 조사되었다. 각각의 경우에서, 합리적이고 일반적으로 간단한 해결책들이 그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에 충분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반창조론자들에 의해서 오늘도 반복적으로 주장되고 있는 진부한 주장이 있다. 그것은 다른 기후 환경에서 살아가는 동물들이 방주 안에서 모두 성공적으로 생존할 수가 없었을 것이라는 것이다. 우리들은 아직도 추운 극지방의 동물이 방주로 가는 도중에 뜨거운 열기로 고통을 당했을 것이라는 생각하거나, 따뜻한 홍수 이전의 세계에서 그들은 살 수 없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동물들의 기후 적응성에 대한 실제적인 연구를 통해, 나는 극지방에서 사는 동물들과 열대 지역에서 사는 동물들이 홍수 이전의 온난한 기후에서도 쉽게 공존할 수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비록 이 연구가 노아의 방주 안에 있던 동물들에 관한 것이었지만, 나는 또한 방주에 있지 않았던 생물체들의 운명에 관해서도 조사했다. 예를 들어 해변이 없는 바다에서 담수물과 소금물의 안정적인 층이 없었다 하더라도, 민물고기와 바닷물고기가 (양서류도 마찬가지로) 홍수 동안에 어떻게 생존할 수 있었는지를 보여주었다.
노아 방주의 신빙성에 대한 공격은 노아 홍수 기간에서만 국한 되지 않고, 홍수 직후의 기간에 대해서도 계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비판가들은 방주에서 나온 동물들은 먹을 것이 없어서 서로를 잡아먹었을 것이라는 등과 같은 근거가 없는 여러 주장들을 한다. 그러한 주장들의 불합리성은 홍수 이후 표면상으로 황폐한 세계 속에서도 먹이가 될 수 있는 많은 통상적이지 않은 근원(sources)들이 있었음을 확인함을 통해서 드러난다. 평소에 먹던 먹이의 획득이 불가능해질 때, 동물들은 통상적이던 먹이의 근원을 바꾸는 것을 오늘날의 몇몇 동물들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책 속의 식물들에 관한 단원에서는, 홍수 동안 식물들은 살아남을 수 없었을 것이라는 반창조론자들의 비논리적인 주장을 반박하고 있다. 또한 그들은 토양에 소금기가 많았기 때문에 어떠한 씨앗도 싹트지 못했으며, 씨앗들은 홍수 물 속에서 조숙하게 발아되어졌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들을 반박한 후에, 나는 씨앗의 발아에 집중하였고, 식물들이 홍수 동안 씨앗으로 생존할 수 있었던 몇 가지 방법들과 물에 흠뻑 젖은 씨앗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능력을 기술하여 놓은 많은 문헌들을 검토하였다.
또한 전 지구적인 홍수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방주로부터 나온 단 한 쌍의 동물들은 그들의 개체집단을 번성시켰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설사 그렇게 되었다 할지라도, 그들은 오늘날 관찰되는 많은 다양한 종들로 분화되어지고 생존하기 위한 충분한 유전적 다양성을 가지지 못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실제로, 최근 보존생물학(conservation biology)의 연구들은 작은 수의 시조(founders)들이 모집단의 잠재적 유전인자들의 대부분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더 나아가, 최초의 소수 집단에서의 근친교배(inbreeding)는 어떠한 문제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지 소수의 동물들로부터 유래되어 많은 개체수로 늘어난 몇몇 동물들의 예들이 인용되었으며, 이것은 어떻게 소수의 개체들에서 분화가 일어나 심지어 놀랍도록 짧은 기간 안에 새로운 종들이 나타날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창조론자들은 이전부터, 홍수 이후 많은 새로운 종(species)들이 쉽게 나타날 수 있었음으로 육상에 있었던 모든 종들이 방주에 탈 필요가 없었을 것이라고 생각하여 왔다. 반창조론자들은 새로운 종들이 단지 5,000년 동안에 생겨날 수 있다는 것을 부인하여 왔고, 이런 일들이 일어날 수 있다는 제안은 진화론자들 보다 더 진화론적인 주장이라고 비난하여 왔다. 종의 분화(speciation)는 생물체의 진화를 지지한다는 유언비어를 내쫓은 뒤에, 나는 새로운 종들은 단지 몇 세기만에, 심지어 몇 십년 만에도 발생되었음을 보여주는 예들을 제시하였다.
사람의 면역시스템(human immune system, the MHC complex)는 많은 유전적 변형체(genetic variants)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반창조론자들은 8 명의 인류 기원자들로부터 오늘날 관측되는 여러 인간 종들의 충분한 다양성이 이루어질 수 없었을 것이라는 증거로서 이것을 제시하고 있다. 나는 이 변형체들이 단지 몇 천년 전에 시작된 최근의 인류 집단과 양립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실증할 수 있었다. 미토콘드리아 DNA(mitochondrial DNA)에 관한 연구는 (이것은 ‘아프리카 이브’ 가설을 낳았다) 어떻게 ‘분자의 시계(molecular clock)‘가 매우 가속화될 수 있었는 지와, 따라서 성경적 시간 틀과 그것이 어떻게 양립할 수 있는 지를 보여주었다.
총체적으로, 새로운 책 '노아의 방주, 그 가능성 연구 (Noah's Ark : A Feasibility Study)”는 노아의 방주에 관한 과학자들이나 평신도들의 질문들에 대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그것은 전 지구적인 홍수와 노아의 방주에 대한 성서의 가르침이 완전히 합리적(reasonable)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신앙인들은 하나님 말씀의 완전성에 전적인 신뢰를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 Mr. Woodmorappe holds M.S. degrees in biology and geology and maintains active research in these fields.
(FAQ 중에서 노아의 홍수와 방주 부분에 대한 많은 대답들은 '노아의 방주, 그 가능성 연구(Noah's Ark : A Feasibility Study)”를 참조 하였으며, '궁금해? 궁금해!” 책으로 출판되었습니다.)
*Were Insects on the Ark? (Answers, 2016. 5. 6)
https://answersingenesis.org/noahs-ark/were-insects-on-the-ark/
번역 - 한동대학교 창조과학연구소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resource-for-answering-critics-noahs-ark/
출처 - ICR, Impact No. 273, March 1996.